양정석실(養正石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양정석실(養正石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919) N
    • 탐석일지 (1)
    • 탐석기행 (352) N
    • 여행 (242)
    • 남한강수계 (213)
    •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395)
    • 서강(주천강,평창강 등) (53)
    • 북한강(가평 등) (81)
    • 한강(팔당댐 하류) (42)
    • 임진강(한탄강,영평천 등) (17) N
    • 홍천강(수하리 등) (3)
    • 낙동강수계 (12)
    • 금강수계 (0)
    • 양주(개명산, 공릉천 등) (18)
    • 기타산지 (29)
    • 해석 (74)
    • 좌대만들기 (5)
    • 수석이야기 (136)
    • 등산 (21)
    • 맛집 (4)
    • 일상이야기 (160)
    • 우리 가족 (23)
    • 사라져 가는 물건들 (13)

검색 레이어

양정석실(養正石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해석

  • 일출경, 11*9*4cm, 선유도

    2024.04.28 by 養正

  • 무슨 문양일까? 17.5*15*6.5cm, 완도

    2024.04.27 by 養正

  • 벚꽃, 12.5*9.5*5cm, 속초

    2024.04.21 by 養正

  • 속초해석, 18*16*11cm

    2024.04.13 by 養正

  • 황칼라 문양석, 20*14*6cm, 병곡

    2024.04.07 by 養正

  • 소녀의 기도, 15*14*8.5cm, 병곡

    2024.04.06 by 養正

  • 황칼라 문양석, 20*14*6cm, 병곡

    2024.02.27 by 養正

  • 2024년 올해의 섬, 상왕등도

    2023.12.28 by 養正

일출경, 11*9*4cm, 선유도

2024.4.24일 고군산열도 여행중 선유도 망주봉 뒤편 몽돌해변에서 탐석, 금일 좌대 제작했다.탐석당시

해석 2024. 4. 28. 19:49

무슨 문양일까? 17.5*15*6.5cm, 완도

2018.11.11일 완도 구계등에서 탐석 그동안 반다지에서 숨어 지내다가 오늘에서야 세상의 빛을 보게 되었다. 금일 좌대 제작했다.모암도 안정되고 비룡이 연상되는데 위로 여백이 넓고 아래 문양 일부가 좌대에 가려질 것 같아 고민끝에 아래 문양으로 좌대 제작하기로 결론내렸다.

해석 2024. 4. 27. 20:43

벚꽃, 12.5*9.5*5cm, 속초

2024.4.11일 속초에서 탐석, 금일 좌대 제작했다.

해석 2024. 4. 21. 13:06

속초해석, 18*16*11cm

2024.4.11일 속초에서 탐석한 해석으로 양양돌 하고는 태생부터 다르다. 양양해석은 모암이 설악산 계곡으로 쌍천을 타고 굴러 내려와 물치항을 거쳐 정암해변까지 돌밭이 형성되는데 석질이 무른 반면 속초해석은 해안절벽에서 떨어져 나온 돌이 바닷물로 직행, 수마가 좋고 석질이 강한편이다. 현지수석인들 사이에 개나리석으로 유명한 산지인데 대포항 끝자락 호텔 공사로 돌밭이 수장되고 말았다. 하루동안 식초에 담궈 석회성분 제거했다. 필자가 2년전 속초에서 탐석한 개나리석이다.

해석 2024. 4. 13. 22:52

황칼라 문양석, 20*14*6cm, 병곡

2024.2.7일 영덕 병곡 백석리 해변에서 탐석한 황칼라 문양석이다. 금일 좌대 제작했다. 탐석당시

해석 2024. 4. 7. 21:33

소녀의 기도, 15*14*8.5cm, 병곡

2023.12.6일 영덕 병곡 백석리 해변에서 탐석, 금일 좌대 제작했다. 바닷돌치곤 모암이 부족하지만 병곡산지 특성상 이정도면 모암과 괜찮은 편이다. 탐석당시

해석 2024. 4. 6. 21:56

황칼라 문양석, 20*14*6cm, 병곡

2024.2.7일 영덕 병곡 백석리 해변에서 탐석한 황칼라 문양석이다. 해석처럼 둥근모암은 아니지만 병곡 산 치곤 모암이 이정도면 준수한 편이고 반듯한 평면에 밝고 화려한 문양이 들어가 수준급 돌이다. 병곡 해석은 강질이다 보니 모암이 되는 수석감은 정말 귀한 편이고 대부분 각이지고 면이 고르지 못해 좌대감 한점 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산지이다. 파도가 사나운 겨울이 탐석하기 제격이다.

해석 2024. 2. 27. 18:10

2024년 올해의 섬, 상왕등도

전북 부안 격포항에서 약32km 떨어진 외딴섬, 주민 53명이 거주하는 상왕등도가 2024년 올해의 섬으로 선정되었다. 왕등도 산 해석 몇점을 소개한다. 모두 필자 소장석이 아니다.

해석 2023. 12. 28. 13: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10
다음
TISTORY
양정석실(養正石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