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석실(養正石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양정석실(養正石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926) N
    • 탐석일지 (1)
    • 탐석기행 (352)
    • 여행 (244) N
    • 남한강수계 (213)
    •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396) N
    • 서강(주천강,평창강 등) (55) N
    • 북한강(가평 등) (81)
    • 한강(팔당댐 하류) (42)
    • 임진강(한탄강,영평천 등) (17)
    • 홍천강(수하리 등) (3)
    • 낙동강수계 (12)
    • 금강수계 (0)
    • 양주(개명산, 공릉천 등) (18)
    • 기타산지 (29)
    • 해석 (74)
    • 좌대만들기 (5)
    • 수석이야기 (136)
    • 등산 (21)
    • 맛집 (4)
    • 일상이야기 (160)
    • 우리 가족 (25) N
    • 사라져 가는 물건들 (13)

검색 레이어

양정석실(養正石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 미녀와 야수, 9*12*6.5cm, 동강

    2024.07.19 by 養正

  • 개미와 배짱이 문양석

    2024.07.19 by 養正

  • 베짱이, 16.5*11.5*6cm, 동강

    2024.07.10 by 養正

  • 노을석(질주본능), 19*12*6cm, 정선

    2024.07.04 by 養正

  • 청자석 꽃돌, 18*13*6cm, 정선

    2024.07.03 by 養正

  • 팥죽노을석(설악비경), 20*28*9cm, 정선

    2024.07.02 by 養正

  • 여왕개미, 19*10.5*6.5cm, 동강

    2024.06.30 by 養正

  • 월하송암도, 10*15*4cm, 동강

    2024.06.28 by 養正

미녀와 야수, 9*12*6.5cm, 동강

2024.7.12(금)일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여 초암님과 탐석여행을 떠나 정선 하미 동강에서 탐석한 숙암 황칼라석으로 금일 좌대 제작했다. 탐석당시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7. 19. 12:33

개미와 배짱이 문양석

2024.6.22(토)일 영월 문산리 능암덕산 앞 동강에서 탐석한 개미와 배짱이 문양석이다. 방해석(개미), 19*10.5*6.5cm, 동강 청자석(베짱이), 16.5*6.5*6cm, 동강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7. 19. 00:09

베짱이, 16.5*11.5*6cm, 동강

2024.6.22일 영월 문산리 능암덕산 앞 돌밭에서 탐석한 청자석 석질의 문양석으로 금일 다름나무로 좌대 제작했다. 이솝 우화에 등장하는 배짱이가 연상된다. 그날 능암덕산 돌밭에서 개미와 베짱이 문양석을 탐석하는 잊지못할 추억을 쌓았다. 탐석당시 개미, 19*10.5*6.5cm, 능암덕산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7. 10. 22:37

노을석(질주본능), 19*12*6cm, 정선

2024.6.21일 정선 귤암리 동강에서 탐석한 노을석으로 그동안 양석시키고 금일 참죽목으로 좌대 제작했다. 사냥꾼에 쫓기는 듯 멧돼지 때의 질주본능이 역동적이다.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7. 4. 13:01

청자석 꽃돌, 18*13*6cm, 정선

2023.4.2일 정선 연포 중간돌밭에서 탐석, 금일 참죽목으로 좌대 제작했다. 탐석당시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7. 3. 16:39

팥죽노을석(설악비경), 20*28*9cm, 정선

2023.4.11일 정선 광하리 군언송어양식장 앞 조양강에서 탐석한 팥죽노을석으로 그동안 양석시키고 금일 수반연출 했다. 설악의 기암괴석을 마주하는 듯 비경에 빠져 들게한다. 여름산의 폭포 줄기가 시원하다. 앞면뒷면 탐석당시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7. 2. 23:19

여왕개미, 19*10.5*6.5cm, 동강

2024.6.22(토) 영월 능암덕산 앞 동강에서 탐석한 방해석으로 금일 참죽목으로 좌대 제작했다. 근면함과 협동을 상징하는 개미, 어디로 행차하실까? 먹잇감을 찾아 나선 길인가, 집으로 돌아 가는 길인가? 방해석은 석질은 무른편인데 수마가 거칠고 여기저기 뜯어 먹은 흠집이 있어 수석감으로 많이 부족해 그전에는 처다보지도 않던 돌인데 동강을 대표하는 숙암석이나 노을석의 개체수가 현저하게 줄어든 요즈음 흠집이 없고 물씻김이 좋은 방해석은 취하고 있는 형편이다. 동강 중하류인 백룡동굴 쯤 떠내려 오면 비로서 수마가 잘된 방해석이 가끔 보이는데 하얀 바탕에 먹으로 그린 수묵화가 들어간 돌은 수석감으로 손색이 없고 수석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있다.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6. 30. 15:16

월하송암도, 10*15*4cm, 동강

2024.6.22(토)일 새벽 미탄 황새여울에서 탐석한 노을석으로 금일 참죽목으로 좌대 제작했다. 소쩍새 구슬프게 울어대는 야심한 밤 벼랑 끝 위태로운 소나무가 달빛에 고고하구나!

동강(조양강, 오대천,지장천 등) 2024. 6. 28. 16:4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50
다음
TISTORY
양정석실(養正石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